Skip to content
Home »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짐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짐

성경을 기반으로 우리가 어디에서 왔는지 이해할 수 있을까? 많은 사람들은 ‘No’라고 하지만 성경말씀을 보면 우리에 관해 이해가 되는 부분이 많이 있다. 인간이 얼마나 복잡한 존재인지 생각해 보자. 한 개의 유전자 코드가 인간이 만든 최고의 컴퓨터 코드 만큼 뛰어나다. 인간은 현대의 최신 나노기술보다 작은 크기의 단백질로 만들어진 기계로 볼 수도 있는데 자동으로 세포의 손상을 복구하는 능력까지 갖고 있고, 개성과 의식을 갖고 있다. 아마도 우리가 하나님 – 최고 디자이너 – 에 의해 창조되었을 가능성에 마음을 열어야 할 것 같다. 예를 들어 성경이 우리의 기원 (beginnings)에 대해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지 생각해 보자. 성경의 첫번째 장에서 말하기를

하나님께서 말씀하셨다. “우리와 비슷하게, 우리의 형상대로 사람을 만들자…” 그래서 하나님은 자신의 형상대로 인간을 창조하셨다, 그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셨다: 하나님은 남자와 여자 그들을 창조하셨다. (창세기 1장 26~27절)

하나님의 형상대로

인류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되었다는 것은 무엇을 의미하는 것일까? 하나님께서 팔 두개와 머리 하나를 가지신 육체적인 존재란 것을 의미하진 않는다. 그것보다는 오히려 인간의 기본적인 특성들이 하나님으로부터 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자면, (성경에 씌어 있는) 하나님과 (우리가 현재 보고 있는) 사람들은 공통으로 지적 능력, 감정, 의지를 가지고 있다. 성경 속의 하나님은 슬퍼하시고 상처받고 화내시고 기뻐하시는데, 이런 감정들은 인간들이 경험하는 것과 같은 감정들이다. 우리는 매일 매일 어떤 것을 선택하고 결정한다. 하나님도 역시 선택하고 결정하신다. 우리는 생각할 수 있고 하나님도 또한 생각하신다. 우리가 합리적으로 추론하고 추상적으로 사고하는 것도 하나님으로 부터 온 것이다.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진 존재라는 것은 하나님은 생각과 감정과 의지를 가지고 계시고 그분이 우리를 하나님과 같이 만드셨기 때문에 우리도 생각과 감정과 의지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하나님은 우리가 우리 안에서 발견할 수 있는 것들의 근원이 되신다.

우리들이 가지고 있는 이런 면들을 좀 더 근본적인 단계에서 보면 우리는 “나”와 “당신”으로 자각하고 인지할 수 있다는 것이다. 우리는 비인격체인 “그것들”이 아니다. 하나님이 이러하시기 때문에 우리들도 이와같다. 이런 근본적인 관점에서 볼 때 성경의 하나님은 스타워즈 영화시리즈에 나오는 ‘힘’ (Force)과 같은 비인격체가 아니시며 우리들도 그의 형상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비인격체가 아니다. 우리는 모두 인격체이다.

우리는 아름다운 것을 좋아하는가?

우리는 또한 예술이나 드라마, 그리고 아름다운 것에 가치를 둔다. 우리가 얼마나 자연스럽게 아름다움을 높이 평가하고, 또한 필요로 하는지 생각해 보라. 이것은 시각적인 아름다움만을 말하는 것이 아니고 음악이나 문학에 있어서도 마찬가지다. 음악이 얼마나 우리에게 중요하고 – 또한 춤추는 것은 또 얼마나 자연스러운지 생각해 보라. 음악은 우리의 생활을 풍부하게 만든다. 이야기 속에는 영웅들과 악한들, 드라마와 같은 요소들이 있고, 위대한 스토리들은 이러한 요소들을  우리의 상상력 안에 넣기 때문에 우리는 소설, 연극, 영화들에 등장하는 좋은 이야기들을 사랑한다. 하나님은 예술가이시고 우리들은 그의 형상 안에 있기 때문에 우리들은 우리 자신을 즐겁게 하고 긴장을 풀고 재충전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예술을 이용한다. 그렇다면 왜 우리가 미술, 드라마, 음악, 춤, 문학 등에서 아름다움을 추구하는가?는 가치있는 질문이다. 솔직한 무신론자이자 인지 과정 이해의 권위자인 대니얼 대닛은 유물론적인 관점에서 이렇게 대답한다.

“이러한 연구의 대부분은 여전히 음악을 당연한 것으로 여긴다. 그러나 왜 음악이 존재할까?에 대해서는 좀처럼 질문하지 않는다. 이에 대해서는 간단하고 진실된 답이 있다. 음악은 우리가 그것을 사랑하기 때문에 존재한다. 그리고 그래서 우리는 그것들이 계속 더 많이 존재하도록 한다. 하지만 왜 우리가 음악을 사랑할까? 그것은 우리가 음악이 아름답다는 것을 발견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왜 음악이 우리에게 아름다울까? 이것은 매우 좋은 생물학적인 질문이지만 아직까지 그것에 대한 좋은 답은 없다.” (대니얼 대닛. Breaking the Spell: Religion as a Natural Phenomenon.  p. 43)

인간으로서의 우리에 대한 모든 것들이 전적으로 물질적인 과정이란 것에만 기반해서 설명된다면 왜 예술이 우리에게 이토록 중요한 것일까? 유물진화론의 관점에서 이런 질문에 대한 세계적인 권위자로 볼 수 있는 대닛은 그냥 모르겠다 라고 말하고 있다. 하나님과 동 떨어져서는 왜 모든 형태의 예술이 우리에게 이렇게 중요한지 명확하게 설명할 수 없다. 그러나 성경적인 관점에서 보면 하나님이 사물들을 아름답게 만드셨고 아름다운 것들을 즐기시기 때문에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진 우리도 마찬가지인 것이다. 이런 성경의 가르침은 우리의 예술에 대한 사랑을 이해할 수 있게 해 준다.

우리는   윤리적인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진 존재라는 것은 인간의 내면에 있는 윤리적인 자질을 설명해준다. 비록 우리들이 사용하는 언어나 문화는 상당히 다를지라도 우리는 무엇이 ‘나쁜’ 행위인지, 그리고 무엇이 ‘좋은’ 행위인지를 이해한다.  도덕적인 추론 능력(Moral reasoning)은 우리들 안에 내재되어 있다. 유명한 무신론자인 리차드 도킨스는 다음과 같이 말한다:

“우리의 윤리적인 판단을 주도하는 것은 보편적인 윤리 문법이다 … 언어와 마찬가지로, 우리의 윤리문법을 구성하는 원리들은 우리의 인식 레이더(radar) 아래에서 활발하게 움직이고 있다”  (리차드 도킨스, The God Delusion. p. 223)

도킨스는 옳은 것과 그른 것에 대한 인식은 언어에 대한 능력처럼 우리 안에 내재되어 있다고 설명하지만 물질적인 자료들만으로는 왜 우리가 이것을 가지고 있는지 설명하기 어렵다. 도킨스는 우리의 윤리 능력이 하나님으로 부터 온 것이라는 것을 믿지 않지만 이것이 가장 직접적이고 간단한 설명이다. 하나님이 윤리적이시고 그의 형상대로 우리가 만들어졌기 때문에 우리 또한 윤리적인 자질을 가지고 있는 것이다. 이것은 인간의 내면에 내재된 능력이다. 우리가 하나님께서 우리에게 도덕적인 나침반을 주셨다는 것을 인정하지 않을 때 오해들이 발생한다. 또 다른 유명한 무신론자인 샘 해리스의 상반되는 의견을 예로 들어보자.

“만약 종교적인 신앙이 윤리의 유일하고 실재적인 기반이라고 믿는 당신이 옳다면 무신론자는 신앙인들보다 좀 덜 윤리적이라야 한다.” (샘 해리스. 2005. Letter to a Christian Nation p.38-39)

해리스는 잘못 이해하고 있고 전적으로 틀렸다. 성경적으로 이야기 하자면 우리의 윤리감각은 신의 형상대로 만들어졌다는 것에서 오는 것이지 신앙에서 오는 것이 아니다. 그리고 이것이 왜 무신론자들도 우리들과 마찬가지로 윤리적인 감각이 있고, 윤리적으로 행동할 수 있는지에 대한 이유이다. 무신론자들은 왜 우리가 이와 같은지 (우리 모두의 내부에 윤리 감각이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

우리는 모두 관계를중하게 생각하는가

따라서 성경적으로, 우리 자신을 이해하는 출발점은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졌다는 것이다. 이런 이유로, 우리가 (성경을 통해 알 수 있는) 하나님을 통해서 (우리의 관측이나 기억을 통해 알 수 있는) 인간에 대한 지식을 알 수도 있고, 반대로 인간에 대한 지식을 통해 하나님에 대한 지식을 가질 수도 있다. 그래서, 예를 들면, 사람들이 관계에 중요성을 둔다는 것을 깨닫는 것은 어렵지 않다. 좋은 영화를 보는 것은 좋은 일이다. 그런데 친구와 같이 보면 더 훨씬 더 좋다. 우리는 경험을 공유하고 복지를 향상시키기 위해 자연스럽게 친구나 가족들을 찾는다. 의미있는 친구나 가족 관계는 우리의 웰빙에 있어 아주 중요한 요소이다. 역으로, 외로움이나 깨어진 가족 또는 친구 관계는 우리에게 스트레스를 준다. 우리는 다른 사람과 맺고 있는 관계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그런 중립적인 존재가 아니다. 만약 우리가 하나님의 형상대로라면 우리는 하나님과 똑같은 강조점을 찾을 것으로 기대되며 실제로 우리는 그러하다. 성경에서 말한다. “하나님은 사랑이시다…”(1 John 4:8). 성경에 씌여진 많은 부분들은 하나님은 하나님과 다른 사람들에 대한 우리의 사랑을 매우 중요하게 여기고 계신다고 하고 있고-그것들은 예수님께서도 성경에서 가장 중요한 두가지 계명으로 일컬으신 것이다. 우리가 그것에 대해서 생각할 때, 사랑하려면 최소한 두사람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사랑은 관계적이어야만 한다.  

그래서 우리는 하나님을 사랑하는 사람(lover)으로 생각해야만 한다. 만약 우리가 하나님을 단지 ‘세상을 움직이는 힘’, ‘ 최초 원인’, ‘전지적인 신’ 혹은 ‘은혜를 베푸는 존재’ 등으로만 생각한다면, 성경적인 하나님이 아니라 우리 생각 속에서 지어낸 하나의 신일 뿐이다.  비록 하나님은 관계이시지만 또한 관계에 열정적이시다. 하나님이 사랑을 가지신 것이라기 보다는 하나님은 사랑이시다. 하나님과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 가장 두드러진 두 가지 묘사는 아버지와 자녀들과의 관계또는 남편과 아내의 관계이다. 이러한 관계들은 먼 관계가 아니라 가장 깊고 가장 친밀한 인간관계이다.

이제 우리가 지금까지 배운 내용을 정리해 보자. 사람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졌고, 정신, 감정, 의지를 갖고 있다. 우리는 감각이 있고 우리 자신과 다른 사람들을 인지한다. 우리는 ‘좋은 것’ ‘공정한 것’에 내적으로 이끌리는 ‘윤리 문법’을 갖는 윤리적인 존재이다. 우리는 옳고 그름의 차이를 안다. 우리는 온갖 종류의 아름다운 것들, 드라마, 예술 그리고 스토리를 개발하고 평가하는 본능적인 능력을 갖고 있다. 그리고 내재적으로, 자연스럽게 다른 사람들과의 관계와 우정을 추구하고 발전시킨다. 하나님이 이러하시고 우리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우리또한 모두 이러하다. 이런 모든 유추된 결론은 적어도 이제까지 앞에서 우리가 관찰한 것들과 일치한다. 다음에 올릴 글에서는 왜 우리들의 관계가 거의 항상 실망스러운지 그리고 왜 하나님과 거리가 느껴지는지에 대한 성경의 설명을 살펴 보기로 하자. 왜 우리의 가장 깊은 갈망이 결코 해결되지 않는지

Leave a Reply

Your email address will not be published. Required fields are marked *